JaeWon's Devlog
article thumbnail
반응형

최근에 금융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하게 되면서, 이전 SI 회사에서는 들어보지 못한 금융 IT 용어들이 많았다.

업무에 참고하고자 해당 용어들을 정리하며, 기록하려고 한다.


1. 1.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를 인프라로 하여 다양한 기업의 환경(에플리케이션/데이터/네트워크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 금융업권(은행계)에서 채널계와 계정계는 대부분 EAI를 통해 연계된다.

- 시스템 구조나 개발언어가 다를 수 있어서 어댑터를 사용한다.

https://itwiki.kr/w/%EA%B8%B0%EC%97%85_%EC%95%A0%ED%94%8C%EB%A6%AC%EC%BC%80%EC%9D%B4%EC%85%98_%ED%86%B5%ED%95%A9

2. 2.ESB(Enterprise Service Bus)

- SOA에서 사용되는 개념.

- EAI와 유사하게 사용된다.(기관 간, 서비스 간 연계)

- SOA 개념을 도입하지 않은 기관에서는 ESB 라는 개념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란?
기존의 에플리케이션들의 기능들을 비즈니스적인 의미를 가지는 기능 단위로 묶어서 표준화된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비스를 구현하고, 이 서비스들을 기업의 업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

https://azderica.github.io/01-architecture-soa/

  • EAI vs ESB
구분 EAI ESB
기술 제공하는 업체가 사용하는 벤더 종속적인 기술을 사용 표준 기반의 기술을 사용
방식 주로 Hub & Spoke 방식의 중앙 집중 방식 동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기 위한 버스형태
특징 시스템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각 시스템의 연계를 중심으로함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나의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거치는 운반자적인 역할이 더 중요

3. 3.FEP(Front End Processor)

- 메인프레임에서 통신 과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전처리 작업을 하는 과정.

- 금융권에서는 의미가 조금 와전되어 B2B 연계를 FEP라고 부른다.

- 전용선 또는 VPN을 이용하여 연결된 기관 간, 정해진 인터페이스로 배치파일(SAM)을 전달한다.

4. 3.MCI(Multi Channel Arichitecture)

- 주로 기업 내부의 동기종 or 유사기종 시스템을 연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 은행에서 여신업무와 수신업무는 MCI/MCA를 통해 연계된다.

https://itwiki.kr/w/MCI/MCA


참고

- https://velog.io/@sezzzini/%EA%B8%88%EC%9C%B5-IT-BCV-EAI-ESB

- https://azderica.github.io/01-architecture-soa/

- https://itwiki.kr/w/MCI/MCA

반응형
profile

JaeWon's Devlog

@Wonol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