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맘때쯤 작성한 AWS + SpringBoot 를 사용한 웹서비스 만들기에 대해 글을 작성한 적이 있다. 프리티어를 통해서 여러 가지 많이 해보고 싶었지만, 생각보다 이용하지 못했다.
그나저나 벌써 1년이지나 프리티어 종료할 때가 되었다.
프리티어가 끝나고 제대로 종료나 삭제를 하지 않으면 요금이 과금되는 경우가 있어, 나중에 다시 사용하게 되더라도 기억하기 위해 글을 써보려고 한다.
AWS 프리티어 종료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 EC2 중지 후 종료/삭제
- 탄력적(Elastic) IP 삭제
- 보안 그룹 삭제
- 키페어 삭제
- RDS(DB) 삭제(여기서부턴 개인별 차이)
- S3(버킷) 삭제
- Route 53(도메인)
0. 이메일 확인
- AWS에서 프리티어가 종료할 날짜가 되면, 아래와 같이 메일이 온다.
- 간단하게는, 프리티어가 종료됨에 따라 요금이 과금될 수 있으니 확인해달라는 내용이다.
1. EC2 인스턴스 중지 및 종료/삭제 하기
- 가장 먼저 요금이 많이 과금이 될 EC2(인스턴스) 서버를 중지시킨다.
- https://aws.amazon.com/ 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진행한다.
- EC2 서비스를 접속하여 인스턴스를 확인한다.
- 종료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선택하여, 우측 상단에 있는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중지] 를 선택한다.
- 인스턴스가 중지되었다면,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종료] 를 선택한다.
- 종료 상태로 바뀌었어도, 아직 인스턴스에서는 노출될 수 있는데 5 ~ 10분 지나면 목록에서도 사라진다.
- 만약, 목록에 삭제가 안되어도 종료가 되었기 때문에 접속이 불가능하여 과금은 안될 것 같다.
2. 탄력적(Elastic) IP 삭제하기
- 탄력적 IP를 사용하지 않고 유동 IP를 사용했다면 추가 과금은 없다.
- 프리티어에서 탄력적 IP를 무료로 1개를 사용할 수 있어, 대부분은 사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 [탄력적 IP] -> [작업] -> [탄력적 IP 주소 릴리스] 를 선택한다.
3. 보안그룹 삭제하기
- 보안 그룹 삭제는 RDS 등을 사용하면 바로 삭제가 안될 수 있다.
- RDS 등을 삭제 후 다시 삭제하면 가능하다.
- 따로 사용하지 않았다면, 바로 삭제가 가능하다.
4. 키페어 삭제하기
- 우리는 과금하면서까지 AWS를 계속 사용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정보도 일단 삭제를 한다.
5. RDS 삭제하기
- AWS에서 제공한 DB를 사용했다면, 삭제를 진행한다.
- EC2 인스턴스 중지와 동일하게 RDS 중지를 먼저 진행 후, 삭제를 진행한다.
- 계속해서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최종 스냅샷 생성 여부와 같은 것은 체크하지 않고, 삭제를 진행한다.
6. S3 삭제하기
- 이번 프리티어 사용하면서 AWS S3도 사용하여, 해당 내용도 삭제를 진행한다.
- 버킷을 삭제 하기 전에 버킷을 비워야 한다고 하여, 해당 부분을 클릭하여 진행한다.
- 이제 다시 S3 삭제를 진행한다.
7. Route 53 삭제하기
- 이번 프리티어를 사용하면서 도메인도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 메일로는 따로 연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삭제가 된다고 하였지만 그래도 완벽하게 삭제를 하고자 한다.
- Route 53 메뉴로 들어가서 삭제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확인하여 진행한다.
8. 마무리
- 프리티어를 사용하면서, 개인프로젝트로 많은 것을 해보고 싶었지만, 사용하지 못했었던 것 같다.
- 프리티어는 계정만 바꾸면 1년마다 사용은 가능하니, 나중에 다시한번 진행해보려고 한다.
- 그래도 서버를 구축하고, 자동화 배포 등을 공부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참고
'Infra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Linux2에서 Certbot을 통해 HTTPS 적용하기 (With. Nginx) (8) | 2021.06.12 |
---|---|
AWS(Amazon Web Service)란?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