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ster / Slave 분산 관리를 하기 전에 초기 설정을 먼저 해보려고 한다.
이 글에서는 Git, Java JDK, Gradle 을 설정할 것 이다.
jenkins 설치 시 기본 플러그인 설치를 하였다면 대부분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따로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된다.
위의 3가지 설정은 모두 [jenkins 관리]의 Global Tool Configuration 에서 진행한다.
1. jenkins 메인 -> jenkins 관리 -> Global Tool Configuration
- Maven, Git, Java JDK, Gradle, Docker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2. Java JDK 설정
- Global Toon Configuration 에서 JDK -> [ADD JDK] 클릭
- "install automatically" 체크 해제 ( *jenkins가 설치 되어있는 서버에 JDK가 있다면 채크해제 해주세요.)
- 이어서 이름과 jenkins가 설치 되어있는 서버에서의 JDK 위치 경로를 입력합니다.
3. Git 연결하기
- Git 설정은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 *path에는 /usr/bin/git 이라고 작성해도 됩니다.)
4. Gradle 설정
- [Add Gradle] 버튼을 클릭하고 2번의 JDK 설정과 같이 "install automatically" 체크 해제
- JDK에서와 같이 이름과 경로를 작성
5. 설정 완료
- 필요한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Save"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적용합니다.
- 각자 필요한 설정도 비슷하게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Infra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JOB(Item) 생성 - Gradle 사용 (0) | 2020.03.15 |
---|---|
jenkins master / slave 분산 관리 (0) | 2020.03.08 |
jenkins 설치하기(Window, tomcat war 배포) (0) | 2020.03.04 |